1. 상한가 종목
오늘 상한가를 기록한 종목들의 상승 이유를 각각 살펴보겠습니다.

쓰리빌리언
- 소마젠과의 협력: 쓰리빌리언은 글로벌 유전체 기업인 소마젠과 희귀질환 진단 유전자 검사 제공을 위한 양해각서(MOU)를 체결했습니다1.
- 미국 시장 진출: 이번 협약을 통해 쓰리빌리언은 소마젠의 미국 현지 의료진 네트워크와 유전체 데이터 생산 능력을 활용하여 미국 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예정입니다.
- AI 희귀질환 진단 시스템: 쓰리빌리언의 인공지능 희귀질환 진단 시스템은 높은 정확도로 주목받고 있습니다.
자이글
- 2차전지 사업 기대감: 자이글은 LFP(리튬인산철) 배터리 사업에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.
- 제조시설 확보: 지난해 12월 2차전지 제조시설 및 연구설비 구축을 위해 74억원 규모의 자산을 양수했습니다.
- 투기적 수요: 구체적인 사업 계획이 확정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, 2차전지 관련 기대감으로 주가가 급등했습니다.
링크제니시스
- AI 관련주 상승: 일론 머스크의 뉴럴링크 임상시험 성공 소식에 따라 AI 관련주들이 일제히 상승세를 보였습니다.
비보존 제약
- ‘오피란제린’이 국산 38호 신약의 유력 후보로 부각되면서 주가에 영향을 준것으로 보입니다.
제이씨현시스템, 플리토
- 인공지능(AI) 컴퓨팅 인프라 지원을 위해 4조원 규모의 민관 합작 투자로 ‘국가 AI 컴퓨팅센터’를 구축하는 방안을 추진정책으로 관련주로 인식되어 상한가
2. 상승종목

에이럭스
- 에이럭스는 드론 기술 확보와 미국 시장 진출 가능성으로 인해 상승했습니다.
- 드론의 ‘뇌’에 해당하는 FC(Flight Control) 자체 제작 능력 보유
- 미국에 사상 첫 500만 달러 수출 돌파
- 미국 공군과 소형 드론 납품 논의 진행 중
- 중국 드론에 대한 미국의 규제 강화 전망으로 수혜 기대감 상승
위츠
- 낮은 시가총액과 적은 유통주식수로 인한 수급 매력 부각
- 차별화된 기술력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감
- 전력 전송 핵심 솔루션 분야에서의 경쟁력
하이드로리튬
- 하이드로리튬은 리튬 테마 강세와 함께 상승했습니다.
- 리튬 테마 전반적인 강세 (+3.59%)
- 기관투자자들의 매수세 (192.22억원 순매수)
- 재무 성장성 및 안정성 높은 평가
코콤
- 코콤은 남북 군사적 긴장 고조와 드론 관련 이슈로 상승했습니다.
- 드론 탐지 및 무력화 시스템 개발 이력
- 북한의 드론 도발 가능성에 따른 관심 증가
- CCTV 설치 수요 증가 기대감
상보
- 상보는 탄소나노튜브 테마 상승과 함께 강세를 보였습니다.
- 탄소나노튜브 테마 전반적 상승 (+3.65%)
- 기관투자자들의 매수세 주도
유니온커뮤니티
- 중기적 수익 성장에 대한 기대감
- 패션 및 의류 관련 테마 주목
노브랜드
- ODM 기업으로서의 경쟁력
- 소비자 수요 증가 및 신제품 출시 기대감
윙입푸드
- 윙입푸드는 나스닥 상장 심사 통과 소식에 2거래일 연속 급등했습니다.
- 나스닥 ADS 상장 신청 승인 확인
- 신사업 자금 조달을 위한 나스닥 상장 추진
셀바스AI
- 셀바스AI는 2거래일 연속 강세를 보였습니다.
- AI 의료 음성인식 제품 강북삼성병원 공급 소식
루미르
- 2025년 흑자전환 전망
- 위성 제조 및 서비스 사업 성장 기대감
3. 하락 종목

오늘 주요 방산 및 바이오 관련 주식들의 하락 요인을 분석해보았습니다.
현대로템
- 현대로템은 최근 52주 신고가를 기록한 후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했습니다. 사상 최대 분기 실적 전망에도 불구하고 단기 급등에 따른 부담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.
- 이스라엘과 헤즈볼라 레바논 휴전으로 인해 하락 영향
DS단석
- DS단석은 최근 무상증자에 따른 권리락 효과로 상한가를 기록했으나, 오늘은 그 반작용으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. 권리락 착시효과가 일단락되면서 조정을 받은 것으로 분석됩니다.
알테오젠
- 알테오젠은 최근 급등 이후 차익실현 매물이 쏟아지며 하락했습니다. 또한 미국 대선 관련 불확실성과 특허 소송 우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.
LIG넥스원
- LIG넥스원은 사상 최고가 기록 후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급락했습니다. 증권사들의 밸류에이션 부담 지적도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.
엔켐
- 엔켐은 대규모 전환사채(CB) 발행 계획으로 인한 오버행 우려가 지속되며 하락세를 보였습니다. 주가 하락으로 CB 발행 일정이 연기되는 등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입니다.
삼천당제약
- 삼천당제약은 최근 비만치료제 개발 기대감으로 급등했으나, 시가총액 5조원 돌파 부근에서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조정을 받았습니다. 글로벌 임상 진행 상황과 특허 소송 등의 불확실성도 영향을 미쳤습니다.
네이처셀
- 네이처셀은 최근 7거래일 연속 상승 후 급락했다가 다시 상한가를 기록하는 등 변동성이 큰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. 미국 FDA의 첨단재생의료치료제 지정 소식에 따른 기대감과 차익실현 욕구가 엇갈리며 등락을 반복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.